꼭 알아야 할 토스의 CC 개념과 제품 본질 체력을 정의하는 방법. MAU, CC의 관계를 알아보고 광고 전략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그로스 해킹, 데이터 마케팅 등 PO/PM/데이터 마케팅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셨을 개념 "그로스 해킹'
한마디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요즘 어떤 산업군이든.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사이트를 얻고 그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회사의 의사결정을 도출한다 하여
데이터 리터러시 = 즉, 데이터를 보고 읽고 쓸줄 아는 능력을 가진 인재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이에, 제가 이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너무 흥미로워서 충격먹은 강의가 있었는데요.
토스 리더 이승건님의 세션 : 토스의 인사이트, 토스 리더가 말하는 ~ 시리즈입니다.
먼저,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PM이 꼭 알아야 할 개념 session 1를 요약 및 정리해보겠습니다.
📌 PO가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토스의 Carrying Capacity (CC)
PO(Product Owner)로서 성공적인 제품 운영과 성장 전략을 세우려면,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정확히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토스에서 사용하는 CC(Carrying Capacity)는 제품의 본질적 체력과 MAU(Monthly Active Users)를 정의하고 예측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글에서는 PO가 알아야 할 CC와 관련된 핵심 개념을 소개합니다.
📝 토스의 CC 개념과 Total Customers의 구성 요소
CC(Carrying Capacity)는 한 제품이 자연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최대 활성 사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제품의 "내재적 체력"을 나타내며, 광고나 마케팅 효과를 배제한 상태에서 계산됩니다.
Total Customers는 다음 두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 New Customers Today (오늘 유입된 신규 사용자 수)
- Lost Customers Today (오늘 이탈한 사용자 수)
이 두 가지가 균형을 이루면서 제품의 MAU가 결정됩니다.
💻 Active User의 정의와 행동 분석
Active User는 단순히 로그인하거나 방문하는 것으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의미 있는 행동을 기반으로 정의되어야 합니다. 토스에서는 다음 기준을 통해 활성 사용자를 구분합니다:
- 95% 이상의 방문자가 반드시 수행하는 행동인가?
- 페이지별로 반복 가능하며, 의미 있는 액션인가?
예를 들어, 간편 송금 앱에서 송금 액션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반드시 하는 의미 있는 행동입니다.
✅ Churn User를 정의하는 기준
Churn User(이탈 사용자)를 정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얼마 동안 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이탈로 간주할 것인가?
- 제품 특성에 따라 상식적인 기준을 설정합니다.
예:
- 한 달에 한 번 사용하는 앱이라면, 3개월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를 이탈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토스 송금의 경우, 지난달에 사용하지 않은 사용자가 전체의 30%에 달한다면 이들을 churn user로 볼 수 있습니다.
📊 MAU와 CC의 관계
MAU(Monthly Active Users)와 CC(Carrying Capacity)는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가집니다.
CC 공식:
CC = # of new daily customers / % customers lost daily
예를 들어, MAU가 75만이고, 매일 7500명의 신규 사용자가 유입되며 이탈 비율이 1%라고 가정해 봅시다.
- 매일 7500명의 신규 사용자가 유입
- 1%의 이탈 비율로 인해 동일하게 7500명의 사용자가 이탈
따라서 이 제품의 CC는 자연적으로 75만 MAU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집니다.
❗️제품의 본질적인 체력 측정 방법
광고나 마케팅 효과를 제외한 상태에서 제품의 체력을 측정하려면 CC가 핵심 지표로 작용합니다.
- MAU 대비 이탈 비율:
광고 없이 유지되는 MAU와 이탈 비율을 분석하여 제품의 건강도를 파악합니다.
🙌 광고 전략과 CC 활용
CC를 기준으로 광고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MAU가 CC에 근접하면 광고를 멈춰도 됩니다.
- MAU가 CC를 초과하면 이탈로 인해 자연적으로 MAU가 CC 수준까지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
- MAU 10만, CC 75만: 광고 필요
- MAU 70만, CC 75만: 광고 불필요
- MAU 100만, CC 75만: 광고는 선택적
📍 새로운 서비스와 CC 레이어 확장
제품의 CC가 한계점에 도달하면 새로운 CC 레이어를 추가하여 성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
- 간편 송금 서비스 + 신용 조회 서비스
이처럼 CC를 활용하면 기존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결론: PO가 CC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PO는 제품의 성과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역할을 합니다. CC는 제품의 본질적 체력을 이해하고, 광고나 마케팅에 대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토스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원리를 적용해 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
CC는 왜 중요한가요?
CC는 제품의 내재적 체력을 정의하여 MAU의 자연스러운 한계치를 예측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 전략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CC를 어떻게 계산하나요?
신규 유입 사용자 수를 일일 이탈 비율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MAU와 CC가 같은 경우, 광고는 필요 없나요?
네, MAU가 CC에 도달하면 광고를 중단해도 사용자 수가 자연적으로 유지됩니다.
CC가 낮으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하여 CC를 확장해야 합니다.
광고와 마케팅 없이도 제품을 성장시킬 수 있나요?
CC를 활용하면 제품 본연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광고 없이도 성장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CC와 Churn Rate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Churn Rate는 CC 계산의 핵심 요소로, 일일 이탈 비율을 기반으로 MAU와 CC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